본문 바로가기
N

모네타 대출이자 계산기 원리금균등상환 계산기 vs 원금균등상환 계산기 금리 비교

by 흰동백64 2020. 10. 25.
반응형

예전에 내방의 품격에서 신혼집 인테리어를 다루면서, 신혼집 장만에 대해서도 잠깐 언급하더군요.

파주 신혼부부가 50평대 전셋집을 1억 8천만 원에 구해서 잘 꾸미고 살던데요.

파주씩이나 외곽으로 나가기에는 서울에 직장을 둔 직장인들로서는 출퇴근이 곤혹스럽죠.

어찌 되었든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요. (파주면 그냥 살 수 있나? ㅋ)

저희 집도 얼마 전에 만기일시상환에서 원리금균등상환으로 대출상품을 갈아탔어요.

원리금균등상환 방식과 원금균등상환 그리고 만기일시상환 방법에 대해 비교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원리금균등상환은 매달 납입하는 금액은 일정하게 해서 약정 기간 동안 원금과 이자를 균등하게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원금균등상환 방식은 원금을 약정기간으로 나눠서 균등하게 납입하면서 남은 기간 동안의 이자를 매달 계산해서 납부하는 방식이죠.

때문에, 원리금균등상환은 약정기간까지 매달 같은 금액의 원리금을 납부하게 되지만, 원금균등상환 방식은 첫 달은 많이 내고 약정기간이 도래할수록 원리금 납입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당연하죠? 남은 이자가 적어지니까요.

반면에 만기일시상환은 매달 이자만 납부하다가, 약정기간이 끝나면 원금을 일시에 상환하게 됩니다.

보통 주택담보대출에서 많이 이용하는데요.

비교적 짧은 주기로 주택을 바꿀 계획이라면, 만기일시상환으로 매달 부담을 적게 하는데 유리하죠.

어차피 새로 집을 사게 되면, 현재 주택의 담보는 갚고, 새 집에 대해서 다시 대출을 일으켜야 하니까요.

아무튼 이 세 가지 방식들을 원리금 이율을 계산기로 계산해 보도록 하죠.

모네타 사이트에서 대출이자계산기를 이용해 볼 텐데요.

모네타 홈페이지 대출 메뉴에서  http://loan.moneta.co.kr/?wlog_mkt=GNB-TT4 하단에 있는 대출금리계산기를 클릭합니다.

먼저 원리금균등상환 계산기를 이용해 보죠.

원리금균등상환 계산기는 모네타 대출계산기에서 원리금균등분할 라디오버튼을 선택하면 됩니다.

대출금은 100만 원으로 금리는 6% 잡아 보겠습니다. 

약정기간은 12개월.

매달 86,066원씩 납입하면 되고요. 첫 달은 이자가 5천 원. 마지막 달은 428원이 됩니다.

원리금균등상환 시 총이자는 32,797원이군요.

이에 반해서 원금균등상환 계산기를 이용해서 계산해 보도록 하죠.

원금균등상환계산기는 원금균등분할 라디오 버튼을 선택하면 됩니다.

1년간 총이자는 32,500원입니다. 원리금균등상환보다 297원 저렴하네요.

반면에 만기 일시 상환은 매달 이자가 5천 원이며, 마지막 달에 100만 원을 다 갚아야 합니다.

1년간 총이자는 6만 원입니다.

균등분할 상환 방식들에 비해서 이자가 무려 2배에 가깝습니다.

즉,  균등상환방식의 이자는 만기 일시 상환에 비해 금리가 절반에 해당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기간 하고는 크게 상관없습니다.)

반응형